jujuwon
시크릿주주
jujuwo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06)
    • 🔠 프로그래밍언어 (35)
      • ☕️ Java (19)
      • 🐠 Python (15)
      • 🍠 Kotlin (1)
    • 🔙 Backend (16)
      • 🌿 Springboot (12)
      • 🐳 Docker (1)
      • ☁️ AWS (3)
    • 💼 CS (12)
      • 📶 Network (12)
    • 🕹 알고리즘 (14)
      • 📑 스터디 (2)
      • 💁🏻‍♂️ 백준 (9)
      • 👨🏼‍🔬 프로그래머스 (3)
    • 📚 Book (8)
      • 🔎 오브젝트 (4)
      • 🧪 TDD (2)
      • 📜 논문 (2)
    • 🔐 보안 (7)
      • 👾 Pwnable (7)
    • 📝 회고 (4)
    • 🧩 etc. (10)
      • ⚠️ issue (2)
      • 💡 꿀팁 (7)
      • ✏️ 끄적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jujuwon
🔙 Backend/☁️ AWS

EC2 :: Ubuntu Swap 메모리 설정

EC2 :: Ubuntu Swap 메모리 설정
🔙 Backend/☁️ AWS

EC2 :: Ubuntu Swap 메모리 설정

2022. 9. 20. 14:54
반응형

EC2 프리티어 서버로 스프링을 띄우고, CI/CD 를 세팅하고 하다보면

메모리가 부족한 경우가 종종 있다.

메모리를 늘리려면 과금을 해야하고..

간단한 실습이나 개발용 환경 세팅이라면 사양을 올리기보다

Swap 메모리를 이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.

 

Swap 파일 또는 파티션 확인

sudo free -m

 

 

Swap 영역이 0 이니 설정을 해주자

Swap 파일 생성

sudo fallocate -l 2G /swapfile

용량이 2G 인 swapfile 이란 이름의 파일을 생성했다.

위 파일을 스왑파일로 설정하자.

sudo mkswap /swapfile

 

 

600의 permission 을 권장한다고 하니 바꿔주자.

sudo chmod 600 /swapfile

Swap 활성화

sudo swapon /swapfile

부팅 시 자동적용 활성화

sudo vi /etc/fstab

위 파일로 들어가서

/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

한 줄을 추가해주자.

 

 

Swap 메모리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끝.

728x90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• Swap 파일 또는 파티션 확인
  • Swap 파일 생성
  • Swap 활성화
  • 부팅 시 자동적용 활성화
'🔙 Backend/☁️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RDS :: Too many connections 오류 해결 (mariaDB)
  • RDS :: Incorrect string value: '\xEC\x9D\xB4\xEC\xA3\xBC...' for column 오류 해결 (mariaDB)
jujuwon
jujuwon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