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ujuwon
시크릿주주
jujuwon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06)
    • 🔠 프로그래밍언어 (35)
      • ☕️ Java (19)
      • 🐠 Python (15)
      • 🍠 Kotlin (1)
    • 🔙 Backend (16)
      • 🌿 Springboot (12)
      • 🐳 Docker (1)
      • ☁️ AWS (3)
    • 💼 CS (12)
      • 📶 Network (12)
    • 🕹 알고리즘 (14)
      • 📑 스터디 (2)
      • 💁🏻‍♂️ 백준 (9)
      • 👨🏼‍🔬 프로그래머스 (3)
    • 📚 Book (8)
      • 🔎 오브젝트 (4)
      • 🧪 TDD (2)
      • 📜 논문 (2)
    • 🔐 보안 (7)
      • 👾 Pwnable (7)
    • 📝 회고 (4)
    • 🧩 etc. (10)
      • ⚠️ issue (2)
      • 💡 꿀팁 (7)
      • ✏️ 끄적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jujuwon

시크릿주주

Network :: IPv6
💼 CS/📶 Network

Network :: IPv6

2022. 12. 8. 19:55
반응형

등장 배경

기존 32bit 기반의 IPv4 에서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

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필요해졌다.

추가로 IPv4 는 Best effort 라고 불리는데,

주로 텍스트 정보를 보내던 예전과 달리 이제는 영상, VoIP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

송수신되고 있다. (주로 multi-media)

보통 라우터를 통해서 패킷이 이동할 때 3계층까지 확인하는데,

IPv4 의 경우 패킷 헤더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딜레이가 많이 생긴다.

이 가변적인 헤더 포맷을 40바이트로 고정해서 패킷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고,

더 많은 주소 공간을 확보하게 하고자 나온 것이 IPv6 !

 

IPv6

  • 고정된 40bytes 길이 헤더를 가진다.
  • fragmentation 이 허용되지 않는다.

  • ver : IPv6 버전이 들어간다. 4bit
  • pri : priority. traffic class 라고도 한다. 8bit
    어떤 데이터인지, 그 데이터가 어느 정도의 우선순위를 갖는지를 나타냄.
  • flow label : 2계층에서 바로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함 ! (전송 속도가 빠르다)
    20bit
  • payload len : 뒤 데이터의 길이. 16bit
  • next hdr : 뒤 데이터의 포맷을 알려줌. 4계층이 TCP 면 TCP, UDP 면 UDP.
    8bit
  • hop limit : TTL 과 같은 개념. 라우터 한 개 점프 시마다 1 감소. 8bit
  • source address : 보내는 주소. 128bit
  • destination address : 받는 주소. 128bit

 

IPv4 와 차이점

  • checksum 이 없다.
    2계층에서 기본적으로 에러 체크를 함.
    IPv4 에서 중복으로 하던 에러 체크를 IPv6 에서 삭제했다.
  • options 삭제
    가변적으로 헤더를 붙여나가던 options 가 사라졌다.
    비슷하게 하려면 next hdr 필드를 이용 !
  • ICMPv6 등장

 

728x90
반응형
저작자표시
    '💼 CS/📶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Network :: Routing protocol
    • Network :: SDN
    • Network :: 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    • Network :: DHCP
    jujuwon
    jujuwon

    티스토리툴바